본문 바로가기

theory/NS 신경외과

뇌출혈 부위에 따른 CT 양상(EDH, SDH, SAH, ICH, IVH)

728x90

오늘은 뇌출혈의 종류를 간단하게 CT사진으로 분류해보려고 합니다.

뇌출혈은 출혈이 일어난 부위에 따라 구분합니다.

경막외 출혈 EDH epidural hemorrhage

경막하 출혈 SDH subdural hemorrhage

지주막하 출혈 SAH subarachnoid hemorrhage

뇌내 출혈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뇌실내 출혈 IVH intraventricular hemorrhage

 

이 부위를 이해하려면 해부학적 구조를 먼저 이해하고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해부학적 구조

Aponeurosis: 건막

Periosteum: 골막

Meninges: 뇌막

 - Dura mater: 경막

 - Arachnoid membrane: 지주막

 - Pia mater: 연뇌막

여기서 Subarachnoid space 지주막하에서 뇌혈관은 밑의 사진처럼 구조해 있습니다.
 
 

해부학적 뇌혈관의 구조는 간단하게 보고 

CT상 뇌출혈 양상을 보고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지 살펴봐요.

 

경막외 출혈 EDH epidural hemorrhage

  • 뼈와 경막 사이에 발생
  • CT: 양쪽이 볼록한 럭비공 모양
  • 대부분 외상에 의해 발생, 동맥의 손상에 의해 발생
  • 즉각적인 의식 소실 후 청명기(일정 시간동안 의식있음, 20%) 급격한 의식변화가 특징
  • 급격한 출혈량으로 수술적 치료 필요

 

 
 

경막하 출혈 SDH subdural hemorrhage

  • 경막과 지주막 사이 발생
  • CT: 오목한 낫 모양
  • 외상이 주원인, 정맥 손상에 의해 발생
  • 점차적으로 의식이 변화
  • 노인과 알코올 중독자 같이 뇌 위축이 심한 환자의 경우 급성 SDH위험 높음
  • 출혈양이 늘어나고 뇌를 한쪽으로 압박할 경우 수술적 치 필요
 

 

지주막하 출혈 SAH subarachnoid hemorrhage

  • 지주막과 연뇌막 사이 발생
  • CT: 별모양
  • 외상 환자 중 가장 흔함
  • 양이 적을 경우 두통, 늘어날 경우 신경학적 증상 발생
 
 
 

뇌내 출혈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 외상(50%), 고혈압, 당뇨, 음주, 폐경 등
  • CT: 둥글둥글함
  • 출혈 발생 부위에 따라 상이
  • 혈압조절 및 대증치료~후유증에 대한 재활치료, 양이 많을 경우 수술적 치료
 
 

뇌실내 출혈 IVH intraventricular hemorrhage

  • 뇌척수액이 흐르는 공간에 출혈 동반
  • CT: 출혈이 뇌실(검은공간)에 존재
  • SDH, ICH와 동반되어 발생
  • 뇌압 및 혈압 조절이 중요

 
이상 간단하게 뇌출혈 부위에 따라 CT상 어떻게 보이는지 간단하게 살펴봤습니다!
공부하거나 뇌출혈에 대한 CT에 익숙해질 때 유익하셨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