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고혈압의 약물적 치료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Hypertension 즉 고혈압은 혈압이 여러 원인으로 높아진 상태를 의미해요

먼저 약물적 치료는 약물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따라 분류할 수 있어요.
1. 체내 수분량 감소 2. 혈관 확장 3. 심장의 과도한 수축억제 입니다.
이와 관련된 약물의 작용은 이렇게 정리할 수 있어요.
1. 체내 수분량 감소
- 이뇨제
-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 억제제)
-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
2. 혈관 확장
- ACE억제제
- ARB
- 칼슘채널차단제
- 알파차단제
- 혈관확장제
3. 심장의 과도한 수축 억제
- 칼슘채널 차단제
- 베타차단제

약물의 기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약물은 이뇨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억제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 칼슘채널차단제(CCB), 알파 차단제, 베타차단제, 혈관확장제 이렇게 총 7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이뇨제 입니다.
이뇨제는 수분과 나트륨 배설 촉진하여 체액량 감소시키며
일차적으로 티아지드계 이뇨제 사용합니다.
전해질 불균형 막기위해 고리작용 이뇨제(purosemide, torasemide)나 칼륨보존 이뇨제(spironolactone, amilorid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억제제)입니다.
RAAS(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에 작용하여 혈관 확장, 체내 수분량 감소에 관여합니다.
혈관 수축/체내 수분량 증가시키는 안지오텐신Ⅱ의 생성에 관여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의 작용을 억제합니다.
캅토프릴, 에날라프릴, 라미프릴 등이 있어요.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입니다.
RAAS에 작용하여 혈관 확장, 체내 수분량 감소에 관여합니다.
안지오텐신Ⅱ가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 막는 기전으로
칸데사르탄, 피마사르탄, 로사르탄, 올메사르탄, 텔미사르탄, 발사르탄 등이 있습니다.
당뇨병(DM)을 동반한 HTN 환자에서 단백뇨를 줄이고 신장 합병증을 예방합니다.
칼슘채널 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 입니다.
심근의 수축력을 감소시키며 혈관을 확장 시킵니다.
심장과 혈관 평활근 세포막에 존재하는 칼슘채널을 차단 → 심근 세포 및 혈관 평활근 내로 근육 수축에 필요한 칼슘의 유입 억제합니다.
심장선택성 CCB: 딜티아젬과 베라파밀 등은 심근 수축 억제, 심박동수 감소
혈관확장성 CCB: 니페디핀과 암로디핀 등은 관상동맥에서 혈관확장작용이 큼
베타차단제 입니다.
심근의 수축력과 심박수 감소시킵니다.
신경전달물질이 교감신경의 베타 수용체에 작용하는 것 차단합니다.
베타-1은 주로 심장, 베타-2는 기관지에 존재합니다.
비선택적 베타차단제 |
베타-1과 2 수용체 차단하므로 기관지 수축으로 인한 호흡억제 부작용 위험 높음 프로프라놀롤, 나도롤 등 |
심장선택성 베타차단제 |
베타-1만 선택적 차단 아테놀롤, 비소프롤롤 등 |
혈관확장성 베타차단제 |
혈관 수축에 관여하는 알파-1 수용체도 함께 억제 혈압 강하 효과 비교적 탁월 카르베딜롤 등 |
알파차단제입니다.
혈관의 수축을 억제합니다.
알파-1: 혈관 수축과 방광 평활근 수축을 유발
독사조신, 테라조신 등
1차 약제로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혈관 수축 억제 + 방광 평활근 수축 억제하므로 전립선 비대증 동반한 HTN 환자에게 효과적이며
기립성 저혈압 유발할 수 있다는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직접혈관 확장제 입니다
동맥 혈관벽의 평활근에 직접 작용하여 혈관을 확장시킵니다.
1차 약제로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히드랄라진: 임산부 고혈압 치료
미녹시딜: 다른 고혈압에 반응 없는 고혈압
니트로푸루시드: 응급성 고혈압 치료
이상 이렇게 고혈압의 약물적 치료의 종류와 기전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여러분의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구요!
혹시 알고 싶은 것이 있거나 질문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바로바로 확인하지는 못하지만 꼭 도움 드릴게요!
다음에 또 만나요~~

'pharmac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감기 - 목감기약 (작용, 종류, 부작용, 주의사항) (0) | 2023.10.22 |
---|---|
항혈전제 -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 차이 (0) | 2023.09.21 |
항응고제 작용기전, 종류, 효과, 용법, 주의사항 (0) | 2023.09.21 |
인슐린 적응증, 종류, 상호작용, 흡수, 보관, 치료 (0) | 2023.08.20 |
항생제의 종류 정리(효과, 분류, 기전) (0) | 2023.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