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armacy

항혈전제 -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 차이

728x90

항혈전제,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 뭔가 비슷해 보여서 헷갈리는 것들

어떻게 나뉘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간단하게 살펴 봅시다!

1. 항혈전제 Antithrombotic

 

 

2. 항응고제(Anticoagulant)

  • 응고인자(Clotting factor)를 표적으로 하여 응고를 방해하는 약물

 1) 헤파린과 헤파린 유도체

  • 비분획 헤파린(Unfractionated heparin): 항트롬빈(Antithrombin)의 작용을 활성화시키고, factor Xa를 억제
  • 저분자량 헤파린(Low molecular weight heparin, LMWH): 에녹사파린(Enoxaparin), 달테파린(Dalteparin), 틴자파린(Tinzaparin)

 2) 비타민 K 길항제

  • 와파린(Warfarin): Factor IV, VII, IX, X의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타민 K의 작용을 길항
  • 기존에 생성되어 있던 응고 인자가 소진된 이후에 효과나 나타나므로, 늦게 효과가 나타남
  • 경구 투여가 가능, 해독제는 비타민 K 

 3) 직접 트롬빈 억제제

  • 항트롬빈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트롬빈을 억제하는 헤파린과 달리, 직접 트롬빈에 결합하여 트롬빈을 억제
  • 히루딘(Hirudin)과 히루딘 유도체
  • 레피루딘(Lepirudin)
  • 비발리루딘(Bivalirudin)
  • 아가트로반(Argatroban)
  • 다비가트란(Dabigatran): 경구 투여

 4) 직접  Xa인자 억제제

  • 직접 Xa인자를 억제하며, 경구 투여가 가능
  • 리바록사반(Rivaroxaban)
  • 아픽사반(Apixaban)
  • 에독사반(Edoxaban

 

 

3. 항혈소판제(Antiplatalet agent)

  •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 형성을 억제하는 약물

 1) COX 억제제

  • 아스피린(Aspirin): 고리형 산소화효소(cyclooxygenase)를 비가역적으로 억제한다. 동맥 혈전을 예방하는 항혈소판제로 가장 흔하게 사용

 2) PDE 억제제

  • 혈소판 내의 cAMP 농도가 증가하면, 혈소판 응집이 감소
  • 포스포다이에스터 분해효소(phosphodiesterase, PDE) 억제제는 cAMP의 분해를 억제해 혈소판 응집을 감소시킴
  • 실로스타졸(Cilostazol)
  • 디피리다몰(Dipyridamole)

 3) ADP 수용체 억제제

  • 티클로피딘(Ticlopidine): 1세대 thienopyridine
  •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 2세대 thienopyridine
  • 프라수그렐(Prasugrel): 3세대 thienopyridine
  • 티카그렐러(Ticagrelor)

 4) GPIIb-IIIa 수용체 길항제

  • GPIIb-IIIa 수용체는 von willebrand factor(vWF)와 결합하여 혈소판 응집을 매개
  • GPIIb-IIIa 수용체 길항제는 이를 억제하여 혈소판 응집을 억제
  • 압식시맙(Abciximab)
  • 엡티피바타이드(Eptifibatide)
  • 티로피반(Tirofiban)

 5) PAR-1 억제제

  • 트롬빈(Thrombin) 수용체 중 하나인 protease-activated receptor-1(PAR-1)를 억제
 

 

 

4. 혈전용해제(Thrombolytic agent)

  • 이미 형성된 혈전을 용해시키는 약물

 1) 재조합 tPA

  •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는 플라스미노겐(plasminogen)을 플라스민(plasmin)으로 전환해 활성화시킴
  • 플라스민은 피브린(fibrin)를 분해해 혈전을 용해함알테플라제(Alteplase)
  • 레테플라제(Reteplase)
  • 테넥테플라제(Tenecteplase)
  • 데스모테플라제(Desmoteplase

 2) 스트렙토키나아제

 3) 유로키나아제

 

 

 

 

이상 항혈전제 중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각각의 분류가 정확히 어떤 기전으로 작용하는지 자세히 다루는 시간도 가져볼게요!

오늘 하루도 고생 많으셨어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