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인슐린제제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인슐린은 신체가 인슐린을 충분히 생산하지 못하거나 인슐린에 정상적으로 반응하지 못하여
혈당(포도당)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질환인 당뇨병을 앓는 사람에게 투여됩니다.
정상인의 경우 소변 당이 넘쳐나지 않을 정도로 혈당이 조절됩니다.
여기에는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중요한 작용을 합니다.
이러한 인슐린이 모자라거나 제대로 일을 못 하는 상태가 되면 혈당이 상승하며,
이로 인해 혈당이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가 되는 질병을 당뇨병이라고 합니다.
식사 요법과 운동 요법만으로 만족할 만한 혈당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약물 요법을 추가하는데 이때 사용 되는 약물이 '인슐린(Insulin)'입니다.

1. 인슐린의 적응증
1) 절대적 적응증: 케톤산증, 중증 감염, 수술, 심근경색, 췌장염, 임신
- 30세 이전의 당뇨병 발병
- 2~3가지 경구혈당강하제 병합요법 실패
2. 인슐린의 종류
1) 초속효성 인슐린(Rapid Acting)
- 식사에 따른 생리적인 인슐린 모방
- 식전 15분 내 주사
- 소아, 위마비 경우 식후 주사
- basal 인슐린 제공하지 않으면 다음 식사 전 고혈당
- 15분 이내 작용, 30-90분 최고작용, 3-4시간 지속
2) 속효성 인슐린(Regular)
- 식전 30-45분 전 주사
- 식사와 식사 간격이 길어질 때 기저 인슐린 역할
- 30-60분 이내 작용, 2-3시간 최고작용, 4-6시간 지속
3) 중간형 인슐린(NPH)
- 자기 전 투여시 새벽현상으로 인한 혈당 조절
- 늦은 아침과 점심 사이 혈당을 정상으로 유지
- 오후 최대효과 나타나므로 점심식사로 인한 혈당 상승 조절
- 2-4시간 이내 작용, 4-10시간 최고작용, 10-16시간 지속
4) 장시간 인슐린
(1) 인슐린 글라진(Insulin Glargine)
- 최대 효과 없이 24시간 동안 고르게 작용
- 부위에 따른 흡수율 차이 거의 없음
- 산성 용액: 다른 인슐린 제제와 혼합 불가
- 2-4시간내 작용, 24시간 지속
(2) 인슐린 디터머(Insulin Detemir)
- 인슐린에 부착된 지방산에 의해 혈중 알부민과 결합하여 더 오래 작용
- 용량에 따라 효과지속시간 다름 → 하루 한번이나 두 번 투여
- 1-2시간 내 작용시작, 최고작용 없음, 지속시간 12-20시간
5) 혼합형 인슐린
(1) 혼합형 휴면 인슐린
- NPH와 Regular 다양한 비율로 혼합
- 환자들에게 편리성 제공
- 용량 부정확의 위험성 감소
- NPH만 투여하는 경우보다 식후 고혈당 개선효과 높음
- 30분-60분 이내 작용시작, 최고작용 Dual, 10-16시간 지속
(2) 혼합형 아나로그 인슐린
- NPL+Lispro
- Insulin asaprt protamine + Aspart
- 효과 발현이 매우 빨라 주사 후 바로 식사
- 최고 혈장농도에 빨리 도달, 식후 혈당 조절에 용이
- protamine 작용이 24시간 지속되므로 공복혈당까지 조절
- 15분이내 작용시작, 10-16시간 지속
3. 약물의 상호작용
1) 혈당 강하 작용 증강
- 살리실산 유도체(아스피린)
- 설파계 항생제
- 삼환계 항우울제
-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captopril, enalapril)
2) 혈당 강하 작용 저하
- 티아지드계 이뇨제
- 난포호르몬, 경구피임약
- 에피네프린
- 갑상선 호르몬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부신피질자극 호르몬
4. 인슐린의 흡수
1) 주사부위 흡수율
-> 복부 > 상완부 > 대퇴부 > 둔부
2) 흡수 속도 차이
-> 흡수가 빠른 경우
- 혈류량 증가: 대퇴부 주사 후 운동시, 고온, 마사지/마찰
- 주사 깊이: IM > SC
- 인슐린 주사용량 적은 경우
-> 흡수가 느린 경우
- 조직의 국소 반응: 지방 비후, 지방 위축
- 주사 깊이 얕은 경우
- 주사 용량 많은 경우
- 흡연
5. 인슐린 보관
-> 사용하지 않은 것은 냉장보관, 사용시 실온에 놓고 보통 28일내 사용
6. 인슐린의 치료 - 제 2형 당뇨병
1) 경구용 약제와 인슐린 병용
-> 공복 시 혈당이 목표를 초과하는 경우
- Insulin glargine, detemir, NPH 취침시 투여하는 방법 추가
- 최소 2회/일 이상 아침 식전과 저녁식전 자가혈당 측정
-> 공복 시 혈당: 목표범위 내, 하루 중 목표범위 넘는 혈당이 있을 때
- 취침 시 NPH 사용한 경우 아침 식전 NPH 추가로 투여
- regular나 rapid-acting 인슐린 식전 추가
- 인슐린 펌프 사용 고려

'pharmac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감기 - 목감기약 (작용, 종류, 부작용, 주의사항) (0) | 2023.10.22 |
---|---|
항혈전제 -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 차이 (0) | 2023.09.21 |
항응고제 작용기전, 종류, 효과, 용법, 주의사항 (0) | 2023.09.21 |
고혈압 약물적 치료 정리(기전, 종류) (1) | 2023.07.24 |
항생제의 종류 정리(효과, 분류, 기전) (0) | 2023.07.20 |